Hand Sanitizer

에 의해서 | 코멘트 1개

손 소독제

수제 손 소독제를 만드는 방법

심은화 , chiangmai life

손소독제 만들기(sanitizer)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가 전세계적으로 퍼지면서 마스크및 손 소독제의 소비량이 늘어서 치앙마이에서 손 소독제를 구하기 힘든 경우가 생겼습니다. 비용면에서 그리고 내 건강을 위해서 손소독제를 직접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기존 제품보다 선호하는 향을 첨가 할 수도 있고 손보호도 훨씬 좋습니다. 필요한 만큼 만들어서 쓸 수 있으니 낭비할 일도 없습니다

알코올, 글리세린, 정제수

글리세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재료 (알로에 젤)

선호하는 향기 에센셜 추가 ( 레몬그라스, 유칼립스, 민트, 티트리 오일, 라벤덜 등등 )는  알코올 냄새를 줄여줍니다.

손 소독제 누구나 만들 수 있나요?

네 만드는 방법이 무척 쉬워서 직접 만들어 쓰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그리고 손 소독제는 재료가 간단하고 구입이 편리해서 특별한 기술없이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알코올의 함량을 꼭 62% 이상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알코올 비율은 어떻게 맞춰야 하지요?

알코올 함량에 따라 재료 배합이 조금 달라집니다. 

알코올이 100%인 것을 구입하셨다면 (알코올 95%로 똑깥은 비율로 넣어서 만드시면 됩니다.)

알코올      정제수                                                       글리세린                                         

80ml         20ml      80%인 알코올이 됩니다.       10 – 20ml 을 넣으면 

72% – 66%의 손 소독제가 완성됩니다.

알코올 75% – 85%로 구입하셨다면

알코올.                   정제수                   글리세린 (혹은 알로에 젤)

80ml                       0 – 10 ml                  10ml

72% – 64%의 손 소독제가 완성됩니다.

일반적으로 약국에서 흔히 살수있는 알코올(에탄올)은 약 75%의 알코올 함량을 가지고 있으니 정제수 없이 글리세린이나 알로에 젤을

알로올 : 글리세린(알로에 젤) 9 : 1 비율로 넣어 섞어주면 됩니다.

  • 에센셜 오일은 적은양을 넣기 때문에 알코올 비율를 많이 낮추지 않습니다.

주의 사항

알코올 함량이 62%로 떨어지지 않게 완성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적으로 소독의 기능을 갖추려면 그리고 질병의 예방을 위해서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자짓 알코올 함량이 낮아서 제기능을 못할 수도 있습니다.

선호도에 따라 정제수 대신 글리세린이나 알로에 젤 그리고 에센셜의 비율을 높일 수 있는데 손을 보호하는 대신에 끈적함을 남을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직접 만들어 쓴 후기

에탄올 함량이 높기 때문에 알코올 냄새가 강합니다. 꼭 에센셜 오일을 넣으셔서 냄새를 희석하시기 밟니다. (하지만 많이 넣으시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습니다. )

손 소독제를 사면 적은 용기는 금방 쓰고 큰용기는 들고 다니기 어려우며 가격 또한 저렴하지 않습니다. 또한 만드는 재료가 너무 간단하고 다른 곳에 이용할 수 있는 것들이라 꼭 손 소독제를 만들지 않더라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들입니다. 직접 만들어서 쓰니 만들때 마다 향도 바꿀 수 있고 글리세린의 양도 조절해서 원하는 타입의 손 소독제를 만들 수 있어 좋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5NQrWsX8xXo

유튜브

태국(치앙마이)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으세요?

제 채널을 구독하고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제가 비디오를 제작하고 정보를 모으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0개의 댓글

댓글 제출

안녕하세요. 저희 부부는 태국 치앙마이에서 살고 있습니다. 외국에서 생활을 하다 보면 많은 정보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던 중 남편의 권유로 치앙마이 정보에 대한 홈페이지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치앙마이에서 생활 하려고 하는 많은분들께  저희 부부들이 3년간 준비해온 정보들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정보가 궁금해요

자녀 유학 및 해외 이주 및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에 대해 일대일 맞춤형 코칭을 받으세요.

shim2263@gmail.com

심은화

저는 남편과 함께 태국에서 자유로운 생활하다가 2022년 호주로 잠시 이민을 왔습니다. 다시 동남 아시아에서 살면서 자유로운 삶을 살아갈 인생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Follow Us

Related Posts

영어권 국가나 비영어권 나라들의 영어 캠프

영어권 국가나 비영어권 나라들의 영어 캠프

동남아 국가로 자녀의 영어 캠프를 생각하고 있으시다면 이중언어 학교를 선택해 보세요. 영어권 국가로 자녀의 영어 캠프를 목적으로 하신다면 현지에서 이루어 지는여러 기관들의 여름특별 프로그램에 자녀들을 참여시켜 보세요.

Comments

0개의 댓글

댓글 제출